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빅데이터] 핵개인을 찾아서

자신의 삶에 주체적 자기결정권을 가진 사람들이 늘어나는 사회 변화를 관찰하고 이들을 ‘핵개인’이라 정의하는 책을 펴냈습니다. 예상보다 많은 분이 읽으신 후 주신 의견은, 놀랍게도 자신의 이야기라는 것이었습니다. 내친김에 이러한 ‘핵개인’들을 만나 그들의 삶을 들어보고 싶어졌습니다.   나의 운명을 스스로 결정하는 것은 모든 개체의 꿈이라 할 수 있지만, 환경의 척박함은 그 꿈을 현실화하기 어렵게 제한했습니다. 홀로 생존할 만큼의 근육을 가지지 못함에도 우리 종이 이 별을 지배하게 된 것은, 무리를 지어 협동했기 때문이라 학자들은 주장합니다. 척박한 환경에서도 물을 쉬임없이 대야 하는 쌀농사를 고집스레 지어온 이 땅의 사람들은 더욱, 혼자보다 이웃과의 삶이 절실했다고 사회학자 이철승 교수는 『쌀, 재난, 국가』에서 이야기합니다.   저자는 오랜 시간 부대끼며 살아와 옆집 숟가락 수도 알 만큼 가깝고, 모내기와 추수를 함께 하며 결속된 관계는 사촌이 땅을 사면 배가 아파지기 마련이라 설명합니다. 이러한 문화를 이어온 우리는 친구와 비슷해진 자신의 모습에서 안온감을 느꼈고, 자신의 목소리를 주장하는 당연한 본능에도 왠지 주저하는 마음이 들었습니다.   이제는 시대가 변하여 무리에 속하지 않고도 오롯이 자신의 색깔을 드러내는 분들이 눈에 띕니다. 무엇보다 이런 흐름이 오기 훨씬 전부터 고집스레 자기만의 기예를 펼쳐 온 그들을 보면, 그 자존과 자신감에 감탄하게 됩니다. 그런 이유로 남들보다 먼저 자신의 길을 만들어 온 분들을 인터뷰해 보았습니다.   첫 번째 인터뷰 대상은 가수이자 작곡가인 윤종신씨로, 그는 오랜 기간 노래를 만들고 불러 왔습니다. 기성의 시스템에서도 성취가 많았던 그는 좀 더 지속가능한 작품 활동에 대해서 고민해 보았다 합니다. 큰 자본이 있어야 음반을 만들 수 있는 환경에서 꾸준히 저작물을 만드는 것은 엄청난 행운을 가진 이들만 가능했습니다. 생산의 주기가 길어지면 지금의 감성이 관객에게 전달될 때까지 지연 역시 필연적이기에 그는 그 간극을 줄이기 위해 ‘월간 윤종신’을 창간하고 매달 새 곡으로 대중에게 직접 다가가고 있습니다. 거대한 시스템의 도움 없이도 자신의 작품활동을 유지해 나갈 수 있는 독자적 플랫폼을 만든 것입니다.   두 번째 인터뷰는 작가 이슬아씨 입니다. 십대부터 ‘어딘글방’에서 글쓰기를 꾸준히 수련해 온 지망생 시절의 그는 자신의 작품을 독자에게 전달하는 방식을 고민했다 합니다. 작가라는 칭호를 얻기 위해 필요했던 등단이라는 기존 통과의례는 일간지의 신춘문예나 문예지의 추천과 같은 방식이 전제되었고, 혹여 등단을 한다 해도 미디어나 출판사를 통해서 독자와의 조우가 허락되는 구조에 그는 의문을 제기했습니다. 그 대안으로 ‘일간 이슬아’라는 플랫폼을 열고 구독료를 내면 하루에 한 편의 글을 보내주는 ‘글의 직거래’를 실현했습니다. 쌓인 저작물 역시 자신의 출판사를 창업해 직접 발간하고 있습니다. 글의 창작부터 유통에 이르는 전 과정을 내재화하여 저자와 읽는 이의 경로를 스스로 확보한 것입니다.   세 번째 인터뷰는 유튜버이자 작가인 이연씨 입니다. 그림을 그리는 것이 너무나 쉽다는 자신의 재능을 발견한 그는 순수미술과 디자인을 복수전공하고 졸업 후 디자인 관련 회사에서 경력을 시작했습니다. 산업계의 구조를 배우며, 그는 그림을 그리는 모습을 촬영하고 자기 생각을 특유의 내레이션으로 더한 영상들을 자체 유튜브 채널을 통해 공개합니다. 그림을 그리는 법만 알려주는 것이 아니라, 창작 과정의 섬세함과 삶에 대한 그만의 관점을 조곤조곤 전달하며 어느덧 구독자는 90만 명에 육박하게 되었습니다. 자신이 좋아하고 잘하는 분야를 찾고 있는, 각자의 시그널을 보내고 싶어하는 이들의 마음을 어루만지는 담담한 어투에 팬들은 용기를 얻습니다. 이에 호응해 그의 콘텐트 역시 동영상을 넘어 책으로, 강연으로 확장되고 있습니다.   이렇듯 핵개인들은 누군가의 도움에 의지하지 않고 그의 팬에게 다가갈 수 있는 스스로의 채널을 오롯이 혼자의 힘으로 만들고 있었습니다. 거대한 기존 시스템에 의지하는 한 자신의 목소리를 올곧게 계속 전달하기가 쉽지 않은 일임을 알고 있기에, 그들은 각자 자신만의 네트워크를 차분히 준비합니다.   몸으로 이야기하는 무용가도, 모노드라마를 연습한 연극배우도, 악기를 숙련한 연주자도, 우리는 모두 무대가 필요합니다. 세종문화회관이 아니어도 예술의전당이 아니어도 족합니다. 나의 마음을 전하고픈 지음의 상대에게 다가가기 위해선 작은 무대로도 충분합니다. 메세나의 은전을 바라지 않고도 나의 팬에게 울림을 전하기 위해 핵개인은 자신만의 무대를 만들어 나갑니다.   우리 모두의 꿈은 자신의 건물을 가진 건물주가 아닌, 자신의 무대를 가진 핵개인이 되어갑니다. 송길영 / Mind Miner빅데이터 핵개인 윤종신 사회학자 이철승 독자적 플랫폼 인터뷰 대상

2023-12-10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